2011년 환벽당
환벽당(環碧堂)은 무등산 자락인 광주호 상류 창계천가의 충효동 쪽 언덕 위에 있는 정자다. 1972년 1월 29일 광주광역시의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11월 6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107호 광주 환벽당 일원으로 승격되었다.
환벽당은 사촌 김윤제(沙村金允悌, 1501~1572)가 노년에 자연을 벗 삼아 후학양성을 목적으로 건립한 남도지방의 전형적인 유실형(有室形)정자로 가까이에는 무등산 원효계곡의 계류가 흐르며 계곡아래 증암천(甑巖川) 주변에는 배롱나무가 아름다운 장관을 이뤄 자미탄(紫薇灘)이라 불렀으며, 특히 이곳은 무등산을 비롯한 원효계곡의 줄기를 따라 자연 풍광이 수려한 지역으로 예로부터 시인묵객들이 자주 드나드는 명승지였다.
환벽당 북쪽으로 200미터 떨어진 곳에는 사촌 김윤제가 살았던 충효마을과 증암천 너머에는 송강 정철이 살았던 지실마을이 있으며 환벽당 아래에는 송강과 사촌이 처음 만난 곳이라는 전설이 깃든 조대(釣臺)와 용소(龍沼), 쌍송(雙松)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뛰어난 곳이다.
면앙정 송순은 서하당 김성원이 식영정을 건립하고 3년이 지난 뒤 1563년 식영정의 시를 차운하며 ‘식영정과 환벽당’은 형제의 정자라고 하면서, 소쇄원과 식영정, 환벽당을 가리켜 한 동(증암천)안에 세 명승 즉, 一洞之三勝이라 말한다.
환벽당은 환벽(環璧)이란 뜻 그대로 푸르름이 고리를 두르듯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이루고, 시가문학과 관련된 국문학사적인 인문학적 가치가 매우 큰 곳이며, 별서원림으로서 가치가 우수한 호남의 대표적인 누정문화를 보여주는 곳이다.
고유번호 | 2011-cul021-0028.jpg, 2011-cul021-0029.jpg, 2011-cul021-0030.jpg, 2011-cul021-0031.jpg | ||
---|---|---|---|
촬영일자 | 2011 | 복제방법 | jpg |
촬영자 | 광주광역시 | 제공자 | 광주광역시 |
라이센스 |
-
이장우 가옥
-
유진벨 기념예배당
-
월봉서원
-
월봉서원
-
오웬 기념각
-
양림동 근대문화유적지
-
식영정
-
송석정
-
소쇄원
-
소쇄원
-
망향정
-
쥐불놀이
-
장 담그기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
월봉서원
-
소쇄원
-
소쇄원
-
환벽당
-
환벽당
-
취가정
-
충장사
-
충장사
-
진다리붓
-
진다리붓
-
오지호화백 생가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
월봉서원
-
월봉서원
-
월봉서원
-
오웬기념묘
-
오웬기념묘
-
서창 향토문화마을
-
서창 향토문화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