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실 사료컬렉션 사진자료 중 문화부분 자료입니다.

 

 

 

 

 

 

 

1991년 낙암정(광산구 임곡동 낙암 기정룡에 의해 중건된 후 몇 차례 중수)

 

 낙암정은 조선 중기 문헌공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升·1527~1572)이 태생지(송현동)로 성리학을 강론한 곳으로 대사성을 지내다 1569년(선조2) 병으로 낙향해 44세 되던 다음해 5월에 짓고, 그 아래 동편에 수간{數間}의 우사(寓舍)를 지어 동료(東寮)라고 이름하고 찾아오는 학자들을 거처케 했다고 전한다.

 

스승 퇴계 이황 선생이 말한 "가난할수록 더욱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빈당익가락(貧當益可樂)에서 그 뜻을 취했다. 이황이 기문을 짓고 편액을 써 주었으나 7개월 후에 죽고만다. 기대승은 이곳에서 은거하며 유거잡영(幽居雜詠) 15수를 남긴다.

 

그러나 현재의 낙암정(樂菴亭)은 고마산중(叩馬山中)에 있었던 옛날의 낙암정이 아니라 기정룡의 낙암(樂庵) 기정룡(奇挺龍;1670~1738) 후손들이 그의 유덕(遺德)을 추모(追慕)하기 위해 옛날의 정명(亭名)을 빌려 이곳에 다시 이건(移建)한 별도의 정자이다. 낙암 기정룡은 자는 현룡 호는 낙암으로 숙종 때 은사로 저서에 낙암유고 있다.

 

 

 

 

 

 

고유번호 1991-cp0205-0069.jpg, 1991-cp0205-0070.jpg, 1991-cp0205-0071.jpg, 1991-cp0205-0072.jpg, 1991-cp0205-0073.jpg, 1991-cp0205-0074.jpg, 1991-cp0205-0093.jpg
촬영일자 1991 복제방법 사진스캔
촬영자 광주광역시 제공자 광주광역시
라이센스
cc-by-nc-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공공누리 제4유형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1. 무송정

  2. 만취정 옛터

  3. 만귀정

  4. 만귀정

  5. 만귀정

  6. 만귀정

  7. 만귀정

  8. 만귀정

  9. 만귀정

  10. 만귀정

  11. 덕남정

  12. 등림사 재실

  13. 등림사

  14. 돈의당

  15. 돈의당

  16. 돈의당

  17. 돈의당

  18. 돈의당

  19. 돈의당

  20. 농은정 옛터

  21. 남덕정

  22. 남덕정

  23. 남덕정

  24. 남덕정

  25. 낙암정

  26. 낙암정

  27. 낙암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