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광산농악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광주광역시 광산구 마륵동을 중심으로 전승하는 농악.
1992년 3월에 지정되었다. 광산농악은 예전의 광산군 당부면 지역이며 영산강 상류의 평야지대인 마륵동(馬勒洞)의 판굿농악을 기초로 칠석동의 고싸움농악, 소촌동의 당산농악, 산월동의 풍장농악, 옥동(평동)과 유계동(동곡)의 걸립농악 등 광산구의 다양한 농악이 집대성된 것으로 호남우도농악에 속한다.
상쇠 정득채(鄭得采)와 설장고 김종회(金宗會) 및 설북 서창순(徐昌淳)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 상쇠의 계보는 최화집(장성)-강성옥(고창)-박성근(고창)-김성락(영광)-전경환(영광)-정득채(함평)에 이르며 그 뒤를 김양균, 김이균이 잇고 있다. 1988년 제29회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에 ‘광산 소촌농악’으로, 1989년도엔 ‘광산마륵농악’으로 참가하여 입상하였고, 1990년의 제31회에선 전경환의 동생인 전경석이 상쇠로 출연하여 문화부장관상을 받았다.
고유번호 | 2009-cul021-0001.jpg, 2009-cul021-0002.jpg, 2009-cul021-0003.jpg, 2009-cul021-0004.jpg, 2009-cul021-0005.jpg, 2009-cul021-0006.jpg, 2009-cul021-0007.jpg, 2009-cul021-0008.jpg, 2009-cul021-0009.jpg | ||
---|---|---|---|
촬영일자 | 2009 | 복제방법 | jpg |
촬영자 | 광주광역시 | 제공자 | 광주광역시 |
라이센스 |
-
만귀정
-
광산농악
-
향교 추기석전
-
향교 추기 석전대제
-
충장사 제향행사
-
최승효 가옥
-
이장우 가옥
-
이장우 가옥 겨울풍경
-
우일선 선교사 사택
-
용전 들소리
-
광산농악
-
환벽당
-
호가정
-
광주 칠석고싸움놀이
-
취가정
-
춘설헌
-
입석마을 입석
-
용진정사
-
양씨 삼강문
-
식영정
-
송강정
-
소쇄원
-
무진고성
-
만취정
-
독수정원림
-
한국가사문학관
-
진다리붓
-
진다리붓 필장 안명호
-
용아 박용철 생가
-
병천사
-
무진고성지
-
환벽당
-
화담사
-
화담 고경당
-
호랑가시나무
-
광주칠석고싸움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