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실 사료컬렉션 사진자료 중 문화부분 자료입니다.

 

 

 

 

 

 

1991년 무송정

 

 이 정자의 이름은 무송(撫松)이리 한 것은 이 정자의 바로 옆에 기이한 노송 한 그루가 외로이 서 있어 누구보다도 이 솔을 아끼고 사랑한 서태환이 자신의 처지를 옛날 도연명에 견주어 '무고송이 반환(撫孤松而盤桓)'이라는 귀거래사의 글귀를 줄여 이 명칭을 붙인 것이고, 아무리 굳센 음의작 용에 의해 일어난 엄동설한의 추위라 할지라도 이를 견디어 이겨내는 송죽등의 차가운 마음은 꺾 을수 없어 비록 이처럼 허약한 처지에 놓여있지만, 추위를 견딜수 있는 세한의 뜻이 있기 때문에 소나무를 어루만지며 옛날의 높은 절의를 배우려 했던 것이다. 광주 남구 칠석동 2리 마 을 입구에 위치해 있다.

 

 이 정자는 한말에 참봉 벼슬을 한 이 마을 서태환이 당시의 세상을 비관하여 스스로의 종적을 숨기기 위해 지은 서식처이다. 도리 석초 , 도리 기둥의 3칸 접집인 이 정자가 다른 정자와 특이한 점은 상량 바로 옆에 조그 마한 단층 다락이 있다는 것이다.

 

 

 

 

 

 

고유번호 1991-cp0205-0208.jpg, 1991-cp0205-0209.jpg, 1991-cp0205-0210.jpg, 1991-cp0205-0211.jpg, 1991-cp0205-0212.jpg, 1991-cp0205-0213.jpg
촬영일자 1991 복제방법 사진스캔
촬영자 광주광역시 제공자 광주광역시
라이센스
cc-by-nc-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공공누리 제4유형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1. 봉산정사

  2. 봉산정사

  3. 봉산정사

  4. 봉산정사

  5. 부용정

  6. 부용정

  7. 부용정

  8. 불리정

  9. 불리정

  10. 불리정

  11. 불리정

  12. 불리정

  13. 불환정

  14. 불환정

  15. 불환정

  16. 불환정

  17. 만오정

  18. 필문선생의 부모묘

  19. 필문선생의 불도묘정문

  20. 만취정

  21. 만취정

  22. 만취정

  23. 만취정

  24. 만오정 옛터

  25. 무학정

  26. 모용대

  27. 무송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