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실 사료컬렉션 사진자료 중 문화부분 자료입니다.

 

 

 

 

 

1991년 불환정

 

 불환정은 광주시 광산구 등임동 내등부락 어등산 기슭에 위치해있다.

 

이 정자의 이름을 불환이라 한 것은 숙종때의 처사 임덕원이 아름다운 이 강산을 삼공과바꿀수 없 다는 삼공불환차강산 의 고시를 인용하여 그의정명을 붙였기 때문이다. 이 정자의 주인 임덕원은 조선중기의 유명한 처사로 세상의 모든 부귀영화를 헌 신짝으로 저버리고 오로지 학문연구와 자연감상에 몰두한 둔세무민의 현자이다. 이 때문에 당시의사람들이 모두 그를 앙망하여 그이 유풍을 따랐다. 이러한 그가 이곳의상유에 두어 칸의띳집을 지어 거처한 관계로 원근의여러사람들이 모두이집을 가리켜 용이 엎드려있다는 뜻으로 그의 이름을 복룡암이라 하였다.

 

 그뒤 그이 만년에 다시 이곳으 로 옮겨 한집을 지으니 오늘의 이 정자가 그 때 지은 그집이다.상량에 승정기원후삼신묘 라는 기록 이 있는 것으로 보아 1771신묘년에 건립되었으며 그뒤 후손들의 수차보수를 거쳐 1903년 계묘년에 그의 지붕을 기와로 개량하여 지금까지 내려오고있다. 보존상태는 좋은편이며 도리석초,도리기둥의 정측면 모두 삼칸 팔각지붕으로 다른정자와는 달리 중앙에 거실한칸이 방으로 꾸며져 있다.

 

 그옆에 오칸 접집으로 된 고지기집이 일열로 배치되어있 고 이고지기집 앞에 삼칸부속건물이 지어져있다.이 정자에 보관된 중요물건으로 이곳임씨들의 선 조인 금호임형수 의 목각책판이 보관되어 있으나 지금은 도난을 우려하여 딴 곳으로 옮기었다. 이 목판은 서하 이민서 가 광주목사로 있을때 금호문집을 펴내기 위해 만든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임공은 송파의 초승이요 또 금호,관해 두 선생을 숙조로 하는 뛰어난 가문의후손이다.그의성품이 원래부터 담백하고 또 가정의 유풍을 이어받아 벼슬 따위의 관작을진흙처럼 하찮게 여기고 문장으 로 규조를 대신한 청덕의 소유자이다.

 

 불환정은 임덕원이 지은 정자로 삼공불환(三公不換)의 의미에서 정명(亭名)을 취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모정(茅亭)이었으나, 여러차레 중수(重修)하면서 기와로 바꾸었다. 정내(亭內)에는 조선시대 중조때의 문관으로 학문과 문장이 뛰어났던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 의 유고집을 펴내기 위해 새긴 책판이 보관되어 있다. 이 책은 금호집으로 숙종때에 대사간과 각 조 판서를 두루지낸 서하 이민서가 임형수의 수려한 문장에 경복하여 흩어진 유고를 모아 간행한 것이다. 여기에는 관해집(觀海集) 과 금호집 원본이 보관되어 있다.

 

 기우문과 기문이 실려있다 지금 이곳은 정자자체는 훼손되어 있지 않지만 주변 환경이 거의 폐가 수준으로 쓰레기로 뒤덮혀 있다 예전에는 불환정 옆에 연못도 있었다고 하나 방치됀후 메워져 어디쯤 인지 정확한 위치도 알 수가 없을정도라 한다.하지만 정자안에는 금호집이 지금도 보관되어있다,

 

 

 

 

 

고유번호 1991-cp0205-0260.jpg, 1991-cp0205-0261.jpg, 1991-cp0205-0262.jpg, 1991-cp0205-0263.jpg, 1991-cp0205-0264.jpg
촬영일자 1991 복제방법 사진스캔
촬영자 광주광역시 제공자 광주광역시
라이센스
cc-by-nc-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공공누리 제4유형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1. 봉산정사

  2. 봉산정사

  3. 봉산정사

  4. 봉산정사

  5. 부용정

  6. 부용정

  7. 부용정

  8. 불리정

  9. 불리정

  10. 불리정

  11. 불리정

  12. 불리정

  13. 불환정

  14. 불환정

  15. 불환정

  16. 불환정

  17. 만오정

  18. 필문선생의 부모묘

  19. 필문선생의 불도묘정문

  20. 만취정

  21. 만취정

  22. 만취정

  23. 만취정

  24. 만오정 옛터

  25. 무학정

  26. 모용대

  27. 무송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