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실 사료컬렉션 사진자료 중 문화부분 자료입니다.

 

 

 

 

 

 

 

1991년 불리정

 

 광산구 삼도동 도야마을 석문산 자락에 지어진 ‘불리정’은 동네에서 1백 50m쯤 떨어진 야트막 한 언덕빼기에 지어져 있다. 동쪽으로 수백구르의 소나무가 숲을 이루며 소나무가 옆을 지키고 있 었다. 진주정씨(晋州鄭氏)‘정복규’가 지었다는 불리정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어 있었다. 팔각으 로 된 정자 내에는 한문으로 스인 현판 글씨가 훼손되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으며 정자위에서 내 려다 보인 동네와 건너편에 빼어난 경관인 병풍산이 한눈에 볼 수 있어 더울 아름답다.

 

 이 정자는 이 마을 진주정씨(晋州鄭氏)인 정복규에 의해 1978년 무오년(戊午年 ) 에 이은 육각 정으로 그이 규모가 마을의 촌정(村亭)에 불과한 조그마한 정자이다. 정자 자체의 내부가 방이 없 는 마루로 되어있고 사변에 손잡이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위사방이 송림(松林)으로 둘러있어 그 분위기가 매우 아담하다. 정자 앞에는 [월파별업(月波別業)]이라고 쓰인 석비(石碑)가 서 있 고 정자에 딸린 천여평의 과원이 그 옆에 자리하여 이 정자의 분위기가 한층 더 좋다. 정내(亭內) 에는 [불리정]이라는 대서(大書)현판과 이 정자의 내력을 기록한 다섯 개의 각판(刻版), 여섯 개 의 주련(珠聯)족자가 각각 제 위치에 부착되어 그 풍미를 더해 주고 있다. 그리고 이 정자의 한가 지 특색이 있다면, 다른 정자와 달리 십여개의 목침(木枕)이 있고, 이 목침을 일열 횡대로 걸어놓 은 걸고리가 있으며 또 목재 자체가 보기 드문 깨죽나무로 되어 그듸 보존 수명이 매우 길다는 것이다. 이 정자의 주인인 월파 정복규(月波 鄭福圭)는 단종조(端宗組)의 절신(節臣)인 정분(鄭泍)의 17 대 손으로 일찍부터 학업에 종사한 주경야독(晝耕夜讀)의 깨끗한 선비이다. 이러한 그가 갑자기 이 정자를 지어 그 이름을 [불리]라 한 것은 이곳의 아름다운 산수를 사랑하여 그의 만년을 소일 (消日) 하기 위해서다.

 

 그의 말에 의하면 [불리]란 이 뜻은 세거지지(世居之地)인 고향을 떠나지 않는다는 의도로 붙인 것이라고》 하지만 도 한편으로는 [도불가수유리야(道不可須臾離也)]라는 깊은 의미가 내포된 아 주 이상적인 명칭이다. 이 명칭하나만으로도 이 정자 주인의 사람됨이 어떠하다느 것을 능히 짐작 하고도 남은 바 있다. 그리고 관련시문(詩文)중 이 정자의 소재를 현재의 나주인 금성(錦城)으로 표기한 것은 그 당시 이 지역이 광주가 아닌 나주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원래 이 지역이 나주소관으로 되어 있었으나 정부의 행정개편에 의해 1949년 8월 14일 나주에서 광산으로 이관되 었고 또 1988년 1월 1일 광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유번호 1991-cp0205-0279.jpg, 1991-cp0205-0280.jpg, 1991-cp0205-0281.jpg, 1991-cp0205-0282.jpg, 1991-cp0205-0283.jpg, 1991-cp0205-0284.jpg, 1991-cp0205-0285.jpg
촬영일자 1991 복제방법 사진스캔
촬영자 광주광역시 제공자 광주광역시
라이센스
cc-by-nc-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공공누리 제4유형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1. 봉산정사

  2. 봉산정사

  3. 봉산정사

  4. 봉산정사

  5. 부용정

  6. 부용정

  7. 부용정

  8. 불리정

  9. 불리정

  10. 불리정

  11. 불리정

  12. 불리정

  13. 불환정

  14. 불환정

  15. 불환정

  16. 불환정

  17. 만오정

  18. 필문선생의 부모묘

  19. 필문선생의 불도묘정문

  20. 만취정

  21. 만취정

  22. 만취정

  23. 만취정

  24. 만오정 옛터

  25. 무학정

  26. 모용대

  27. 무송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