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실 문화,관광과 관련된 자료입니다.

 

 

 

2005년 광주향교

 

광주광역시 서구 구동에 있는 향교.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1398년(태조 7)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서석산() 장원봉() 아래에 창건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호환()이 있어서 동문 안으로 옮겨 세웠다가, 1488년(성종 19)에 수해()로 현감 권수평()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건물은 정유재란 때에 소실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그 뒤에 중건한 것이다.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하고 단청하였으며, 1976년에 동·서재와 1978년에 명륜당을 보수하고 1981년에 담장 등을 보수하였다.

 

  이 향교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西)·동재·서재·내삼문()·외삼문()·비각 등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에는 5성(), 송조2현() 및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외삼문 밖에 있는 비각에는 흥학비()와 중수비()·위성묘비() 등이 있는데, 흥학비는 1563년에 세워진 것으로, 기대승()이 찬기()하고 박광옥()이 음기()를 찬하였다.

 

  중수비는 둘이 있는데 하나는 1803년에 목사 김선()이 중수하고 교리 기학민()이 찬기한 것이며, 또 하나는 1855년에 목사 홍재응()이 중수하고 기정진()이 찬기한 것이다. 위성묘비는 권일제가 성묘를 지킨 것을 1843년에 목사 조철영()이 그 기()를 새겨 세운 비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하고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으며, 전교() 1명과 장의()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소장 전적은 189종 306책으로 주로 경서와 문집류이며, 필사본인 『관안()』·『광주유림안()』 등은 이 지방의 향토사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고유번호 2005-cul021-0051.jpg
촬영일자 2005 복제방법 jpg
촬영자 광주광역시청 제공자 광주광역시청
라이센스
cc-by-nc-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공공누리 제2유형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1. 충효리 정려비각

  2. 충효동 왕버드나무

  3. 진다리붓 필장 문상호

  4. 지산재

  5. 중흥산성쌍사자석등

  6. 월계동 장고분

  7. 우일선 선교사 사택

  8. 용진정사

  9. 용아 박용철 생가

  10. 오웬 기념각

  11. 양송천 묘역

  12. 신용동 오층석탑

  13. 무양서원

  14. 만취정

  15. 만귀정

  16. 용진마애여래좌상

  17. 호랑가시나무

  18. 광주향교

  19. 포충사

  20. 칠석동 은행나무

  21. 월봉서원 빙월당

  22. 우일선선교사 사택

  23. 오지호 화백 생가

  24. 오지호 화백 생가 입구

  25. 양씨 삼강문

  26. 서오층석탑

  27. 만귀정

  28. 동오층석탑

  29. 광주 재명석등

  30. 고원희 생가

  31. 5.18민중항쟁 전대앞 사적지

  32. 충민사

  33. 유촌동 석조여래좌상

  34. 용아 박용철 시비

  35. 병천사

  36. 만귀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