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월계동 장고분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0호. 2기. 영산강의 지류를 낀 낮은 구릉지대에 2기의 장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일대는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로 조성됨에 따라 현지 보존을 위한 2차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3년 1차 조사는 시굴조사로서 장고분 2기의 범위를 파악해 보존구역이 결정되었고, 1995년 2차 조사에서는 두 장고분의 주구가 전면 발굴되었다.
제1호분은 규모가 전체 길이 45.3m, 원부 직경 25.8m이다. 장축은 서북서-동남동방향을 취하고 있으며, 방부는 서북서쪽을, 원부는 동남동쪽을 향하고 있다. 주구는 방패형을 띠고 있어서 방부와 원부 폭은 8m인데 반해, 허리 폭은 14m 내외에 달한다. 석실은 횡혈식석실로서 현실은 길이 4.5m 내외, 너비 3m 크기의 장방형이다.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뒷벽의 높이는 약 2.6m이다.
제2호분은 규모가 전체 길이 34.5m, 원부 직경 20.5m이다. 장축은 동에서 북으로 약간 기운 동서에 가까운 방향을 취하고 있으며, 방부는 서쪽을, 원부는 동쪽을 향하고 있다. 주구는 제1호분과 마찬가지로 방패형을 띠고 있다. 석실은 연도를 갖춘 횡혈식석실로서 현실은 길이 3.8m, 너비 2.4∼2.5m 규모의 장방형이다.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뒷벽의 높이는 1m 정도이다.
고유번호 | 2006-cul021-0018.jpg, 2006-cul021-0019.jpg, 2006-cul021-0020.jpg | ||
---|---|---|---|
촬영일자 | 2006 | 복제방법 | jpg |
촬영자 | 광주광역시청 | 제공자 | 광주광역시청 |
라이센스 |
-
충효리 정려비각
-
충효동 왕버드나무
-
진다리붓 필장 문상호
-
지산재
-
중흥산성쌍사자석등
-
월계동 장고분
-
우일선 선교사 사택
-
용진정사
-
용아 박용철 생가
-
오웬 기념각
-
양송천 묘역
-
신용동 오층석탑
-
무양서원
-
만취정
-
만귀정
-
용진마애여래좌상
-
호랑가시나무
-
광주향교
-
포충사
-
칠석동 은행나무
-
월봉서원 빙월당
-
우일선선교사 사택
-
오지호 화백 생가
-
오지호 화백 생가 입구
-
양씨 삼강문
-
서오층석탑
-
만귀정
-
동오층석탑
-
광주 재명석등
-
고원희 생가
-
5.18민중항쟁 전대앞 사적지
-
충민사
-
유촌동 석조여래좌상
-
용아 박용철 시비
-
병천사
-
만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