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만귀정
1984년 2월 29일 광주광역시문화재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흥성장씨(興城張氏)의 낙남(落南) 선조인 장창우(張昌雨)가 후학을 가르쳤던 옛터에 후손들이 그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1934년 중건한 건물로, 1945년 중수되었다.
연못 한가운데 세운 수중 정자로,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정사각형 팔작지붕이다.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고, 동·서·남쪽의 세 방향에는 난간을 돌렸다. 만귀정 외에 습향각(襲香閣)·묵암정사(默菴精舍) 등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한줄로 늘어서 있는 보기 드문 정자군이다.
습향각은 1940년 묵암 장안섭(張安燮)이 연못 중앙에 사방 1칸으로 지은 정자이며, 가장 안쪽에 있는 묵암정사는 송정읍장을 지낸 장안섭의 덕행을 기려 1960년 광산군민이 성금을 모아 건립한 사방 1칸의 팔작지붕이다. 만귀정과 습향각·묵암정사에는 중건상량문·중건지·중수기를 비롯해 만귀정원운(晩歸亭原韻)과 팔경(八景) 등의 시문현판이 걸려 있다.
경내에는 만귀정시사(晩歸亭詩社) 창립기념비가 세워져 있고,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건너가는 다리 옆 한쪽에 취석(醉石), 다른 쪽에 성석(醒石)이라 새겨진 긴 석재가 놓여 있어 문인들이 풍류를 즐기던 곳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인동장씨문중에서 소유, 관리한다.
-
충효리 정려비각
-
충효동 왕버드나무
-
진다리붓 필장 문상호
-
지산재
-
중흥산성쌍사자석등
-
월계동 장고분
-
우일선 선교사 사택
-
용진정사
-
용아 박용철 생가
-
오웬 기념각
-
양송천 묘역
-
신용동 오층석탑
-
무양서원
-
만취정
-
만귀정
-
용진마애여래좌상
-
호랑가시나무
-
광주향교
-
포충사
-
칠석동 은행나무
-
월봉서원 빙월당
-
우일선선교사 사택
-
오지호 화백 생가
-
오지호 화백 생가 입구
-
양씨 삼강문
-
서오층석탑
-
만귀정
-
동오층석탑
-
광주 재명석등
-
고원희 생가
-
5.18민중항쟁 전대앞 사적지
-
충민사
-
유촌동 석조여래좌상
-
용아 박용철 시비
-
병천사
-
만귀정